A Conversation With Eun Pyo Hong (홍은표)

 
 

A conversation with Eun Pyo Hong, a Korean painter, about turning trauma into inspiration, NFTs, and persisting through failures.

By Yoojin Shin

 
A CROWDED WORLD (2019)Oil on Canvas90 x 60 cm

A CROWDED WORLD (2019)

Oil on Canvas

90 x 60 cm

홍은표 작가님, 바람하우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먼저 저희 독자들에게 짧은 소개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는 한국에서 ‘상처받은 아이들의 동심과 치유’를 주제로 작업 활동을 하고 있는 홍은표 작가입니다.

Mr. Hong, welcome to The Baram House! Please give our readers a short introduction.

Hello, it’s great to be here. My name is Eun Pyo Hong, a painter based in South Korea exploring the themes of innocence and healing within wounded children.

언제, 그리고 어떻게,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셨나요?

어렸을 때부터 동화책을 보면서 주인공이나 배경을 따라 그리며 노는 걸 좋아했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초, 중, 고등학교를 다니면서도 항상 미술부 활동을 하게 되었고, 다양한 대회에 나가며 수상을 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미대에 진학하고 지금까지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When and how did you begin painting?

Ever since I was little, I enjoyed reading fairy tales and drawing their protagonists or backgrounds. So quite naturally, I joined art clubs throughout my school years, participated in various art competitions and won some awards—which led to my attending an art university and pursuing a career in art.

무슨일이야? (2021)Oil on Canvas91 x 60.5 cm

무슨일이야? (2021)

Oil on Canvas

91 x 60.5 cm

 
JUST ONE BITE (2020)Oil on Canvas110 x 99.5 cm

JUST ONE BITE (2020)

Oil on Canvas

110 x 99.5 cm

 

작가님의 작품들에는 인형, 풍선, 그리고 자동차 들이 많이 보입니다. 이런 소품들을 모티브 삼아 그리시는 이유가 있으신가요?

2013년에 중국에서 석사를 공부하던 중 큰 교통사고가 났었습니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어렵게 한국 대형병원으로 이송되어 큰 수술을 여러 차례 받았었는데요, 그 때 당시 같은 병실에 있던 꼬마 남자아이로부터 작업의 영감을 받아 지금까지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당시 저는 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증후군으로 매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었는데요, 그 꼬마 남자아이도 학원 차 때문에 발 뼈가 으스러진 상태로 저와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큰 좌절감과 절망적인 생각들로 가득 찬 저와 꼬마아이는 달랐습니다. 가끔 들려주신 이모가 선물한 장난감과 캐릭터풍선 등을 보며 너무 환한 표정으로 행복해하며 미소를 짓는 모습이 침울한 제 모습과 대조되었습니다. 이 때의 경험이 제 작업세계관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Your works frequently display stuffed toys, balloons, and cars. Is there a reason why you continue to revisit these objects?

In 2013, while working towards a Master’s degree in China, I got into a severe car accident. Afterwards, I was transported to a large hospital in South Korea with great difficulty and received rounds of surgeries. During that time, I shared my hospital room with a small boy who became a continuous source of inspiration.

I was suffering from 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and the boy was in a similar situation because he’d gotten his feet crushed by a car. I was filled with frustration and despair, but the boy wasn’t. His aunt sometimes visited and gave him toys and character balloons, which seemed to make him so incredibly happy and full of laughter—a great contrast to my gloom. This experience profoundly influenced my future works.

I WANT… (2018)Oil on Canvas90 x 55 cm

I WANT… (2018)

Oil on Canvas

90 x 55 cm

 

지금은 어디서 주로 영감을 얻으시나요?

교통사고 후 겪었던 많은 일들이 있어서 그런지 작업의 영감은 주로 재난영화나 동심을 불러일으키는 애니메이션 등에서 구하고 있습니다. 작품의 화면구성은 아이들이 처한 힘든 상황들을 상상하며 머릿속에 그려보고 어떤 방법으로 위트 있게 풀어낼지 항상 고민하면서 작업을 합니다.   

What inspires you now?

Now, my main source of inspiration seems to be movies—movies that deal with natural disasters or animated ones that recall childhood feelings and memories. In terms of composition, I try to imagine various situations in which children might experience difficulties and try to explore that in new, fresh ways.

IF I COULD CLEAN A WOUND No. 3 (2020)Oil on Canvas53 x 72.7 cm

IF I COULD CLEAN A WOUND No. 3 (2020)

Oil on Canvas

53 x 72.7 cm

현재 예술 시장은 NFT (Non-Fungible Token)가 적용된 디지털 그림 판매로 들썩이고 있습니다. NFT 그림에 대한 소견이 있으신가요?

어떤 재화나 기술을 통해서든 그림을 포함한 예술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진다면 좋은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기술적인 도구를 악용해 예술 작품을 투기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입니다.

Currently, the art market is being disrupted by NFT (Non-Fungible Token) artworks. What do you think about NFTs?

If any new method or commodity makes art more accessible, then I think that’s a good development. But we must refrain from using such tools to speculate on artworks.

작가로 활동하시면서 제일 어렵고 힘든 점이 뭘까요?

제 생각에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됩니다.

첫번째로는 어느 나라나 마찬가지겠지만 순수한 작가 활동만을 통해서 경제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경제적인 뒷받침이 충분해서 힘들지 않게 작업하는 작가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젊은 청년 작가들은 작업활동을 이어가는데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많은 고충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는 모든 작가의 공통점일 거 같은데, 바로 창작에 관한 고통입니다. 매번 새로운 작품을 창작할 때마다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고민도 많이 합니다. 하지만 그 결과물은 항상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 것이 아쉽습니다. 또한 작품이 완성 되더라도 제 작품에 익숙해지거나,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기 위해 항상 고민하고 경계를 늦추지 않습니다.

What’s the most difficult thing about being a working artist?

I think there are two, actually.

The first thing—and it’s probably the same wherever you are—is that it’s incredibly difficult to become financially secure by devoting yourself only to your art. Of course, there are artists who have strong financial foundations to support them, but that usually isn’t the case for young, emerging artists.

The second thing is the sheer difficulty of creating something new. Every new work takes an incredible amount of time, effort, and thought. But the result isn’t always reflective of its input. And even when the work is finished, you have to make sure that you haven’t gotten used to what you’ve always been doing.

ALL MINE (2020)Oil on Canvas116.5 x 72.5 cm

ALL MINE (2020)

Oil on Canvas

116.5 x 72.5 cm

TO BE WITH YOU No. 2 (2020)Oil on Canvas91 x 72.5 cm

TO BE WITH YOU No. 2 (2020)

Oil on Canvas

91 x 72.5 cm

앞으로는 어떤 작품을 만들고 싶으신가요?

교통사고를 당하고 입원과 재활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몸이 정상이었을때는 느끼지 못했던 사소한 것들에 많은 불편함을 느꼈었습니다. 또 동시에 그 전에는 익숙해서 감사하다고 느끼지 못했던 태양의 따스한 빛, 그 빛에서 느껴지는 생동감, 태양 덕분에 더 아름다워진 자연 풍경 등에 감사한 마음도 많이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비장애인들이 느끼지 못하는 일상의 불편함과 장애우들이 겪는 정적인 고통, 생동감 있고 역동적인 삶에 대한 동경을 주제로 LED를 활용한 미디어 작품을 구상하고 있습니다.

What kind of works do you want to produce from now on?

When I was in the hospital and going through rehabilitation therapy, I felt discomfort in lots of small ways that I couldn’t feel before the accident. At the same time, I grew more appreciative and thankful for the things that I had taken for granted, like the warm rays of the sun, its liveliness, and its beautiful effects on the natural environment.

So right now, I am conceptualizing a multimedia work using LEDs that will explore the topics of everyday inconveniences and the silent pain that disabled people experience, while attempting to capture a longing for a vivid and dynamic life.

 
같이 가는 길 (2021)Oil on Canvas91 x 72.5 cm

같이 가는 길 (2021)

Oil on Canvas

91 x 72.5 cm

 

이제 막 작품활동을 시작하려는 젊은 작가들에게 조언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작업해오면서 가장 많이 했던 생각은 ‘실력이 있으면 기회는 반드시 찾아온다’와 ‘버티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라는 두 가지 생각입니다. (이긴다는 표현이 다소 과장돼 보일 수 있지만, 미대를 나와서 작업을 계속한다는 게 그만큼 쉽지 않습니다.) 작가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여러 장애물이 많지만, 작가 자신만의 스토리와 개성을 가지고 뚝심 있게 작업을 하다 보면 그 성과가 조금씩 나타납니다.

요즘 코로나19로 인해서 미술계를 포함한 모든 영역이 정말 어렵고 힘들지만 다들 이번 고난을 발판 삼아 비대면 시대에 맞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통해 더 많은 성과를 거두시기를 기대합니다.

If you can give a piece of advice to young artists in the beginnings of their careers, what would it be?

Until now, I continuously reminded myself two things: first, that if you are talented, there will be opportunities; second, if you persist, you will win. (The phrase “winning” seems a little over-exaggerated, but it’s not so easy to continue creating after university.) You will encounter many obstacles in becoming and being a working artist, but if you develop your own personal story and persist with conviction, the results will materialize little by little.

Nowadays, every field of work including the arts is experiencing severe difficulties because of COVID-19; but I hope that you will use these difficulties as an opportunity to try new things that will yield more fruitful results in times to come.


%E1%84%92%E1%85%A9%E1%86%BC%E1%84%8B%E1%85%B3%E1%86%AB%E1%84%91%E1%85%AD_%E1%84%91%E1%85%B3%E1%84%85%E1%85%A9%E1%84%91%E1%85%B5%E1%86%AF%E1%84%89%E1%85%A1%E1%84%8C%E1%85%B5%E1%86%AB2.jpg

홍은표 (b. 1983) 는 한국의 화가이다. 조선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한 후 2016년에 북경중앙미술학원 유화과에서 석사 학위를 수료했다. 한국, 중국, 싱가포르 등에서 개최된 다양한 전시 및 아트페어에 참가했으며 공공미술, 출강, 아트 플랫폼 협업 등 다양한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Eun Pyo Hong (b. 1983) is a South Korean painter. After studying Western Painting at Joseon University, he obtained his Master’s in Oil Painting from The Central Academy of Fine Arts in 2016. He has participated in numerous exhibitions and art fairs throughout South Korea, China, and Singapore, while collaborating with various digital art platforms, delivering lectures, and producing public art. You can keep up with his works on his Instagram (@hongeunpyo_studio) and website (www.hongeunpyo.com).

Previous
Previous

Manya Naranzogt: Double Take